Search
안녕하세요. 다양성을 향한 지속가능한 움직임, 다움에서 활동하는 정성조입니다. 7월 5일과 6일 대만 타이베이에서 개최된 “2023 EU-대만 성평등 포럼”에 다녀왔어요. 저는 한국 성소수자의 전반적인 상황과 정책적 필요성을 공유해달라는 초청을 받고 참가하게 되었어요.
대만 행정원이 주최하는 국제 성평등 포럼
유럽연합(EU)과 대만은 2019년 “유럽연합과 대만의 성평등 협력과 교육 체계에 관한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발족했어요. 같은 해에는 “2019 EU-대만 LGBTI 인권 컨퍼런스”를 개최하기도 했죠. 2019년은 대만에서 동성혼이 법제화된 해였잖아요. 컨퍼런스의 주제는 자연스럽게 혼인평등과 성소수자 권리 보장이었어요. 아쉽게도 코로나19 확산으로 컨퍼런스를 이어오지 못 하다가 작년부터 행사가 재개되었어요. 작년 컨퍼런스의 주제는 “트랜스젠더와 인터섹스의 삶, 그리고 성소수자의 권리”였다고 하네요. 올해 주제는 “성평등을 증진하기”예요.

2023 EU-대만 성평등 포럼에 참여한 주요 연사 단체사진. 첫 번째 줄 좌측에서 여섯 번째 자리에 천젠런 대만 행정원장이 배석해 있다. (사진제공: 대만 행정원)
이번 EU-대만 성평등 포럼은 팬데믹 기간과 이후에 나타난 젠더 불평등과 여성의 경제적 역량 강화, 성소수자의 삶의 조건 등을 폭넓게 다루었어요. 아시아와 유럽의 여러 국가에서 온 활동가, 연구자, 정책 담당자가 여성과 성소수자가 처한 상황을 공유하고 정책적 변화와 협력의 필요성을 논의하는 뜻깊은 자리였지요. 특히 이번 포럼은 대만 행정원의 의뢰로 무지개평등권빅플랫폼(彩虹平權大平台)이 수행한 “대만 LGBTI 성소수자 생활실태조사”의 결과를 발표하는 자리기도 했어요. 행정원이 실시한 성소수자 대상의 첫 실태조사로 1만 3천여 명이 넘는 성소수자가 조사에 참여했다고 해요. 엄청나죠? 참, 저는 다움에서 실시한 “2021 청년 성소수자 사회적 욕구 및 실태 조사” 결과를 공유하기 위해 참석했어요.
사실 저는 한국 성소수자 인권 실태를 간단히 발표한다는 소박한 마음으로 행사에 참여했어요. 맛있는 대만 음식을 이것저것 먹어보겠다는 기대와 함께요. 그런데 포럼장에 도착해보니 포럼의 규모가 제가 생각한 것을 훨씬 넘어선 거 있죠. 특히 첫 날은 천젠런(陳建仁) 행정원장이 참석해 방송 카메라로 북새통을 이뤘어요. 우리나라로 치면 국무총리에 해당하는 고위 정치인이 성평등 행사에 참석한 거였죠. 천젠런 행정원장은 개회사에서 성평등을 정책적으로 확고하게 추진하는 한편 성폭력 범죄에 무관용으로 대처하겠다는 각오를 밝혔어요. 최근 대만에서는 집권 정당인 민주진보당 소속 정치인은 물론 국민당과 사회 각계에서 ‘미투’ 운동이 폭발적으로 확산하고 있어요. 차이잉원(蔡英文) 총통이 ‘미투’의 목소리를 낸 이들에 지지를 표하며“우리 사회 전체가 다시 배우고 자정해야 한다”는 입장을 내고 개혁을 약속하기도 했지요. 이번 EU-대만 성평등 포럼은 대만 행정부에게 꽤나 중요한 의미가 있는 행사였던 셈이죠.

천젠런 대만 행정원장은 이날 기조 연설에서 코로나 이후 젠더 불평등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은 물론 성폭력 범죄에 단호히 대응할 것을 다짐했다. (사진제공: 대만 행정원)
대만 성소수자의 삶: 변한 것과 변하지 않은 것
이번 포럼의 하이라이트는 역시 “대만 LGBTI 생활실태조사”의 결과 발표가 예정된 세션이었어요. 한국 성소수자 커뮤니티에도 2019년 대만 동성혼 법제화는 중요하고 뜻깊은 소식이었지요. 동성혼 법제화가 이루어지고 3년이 지난 시점에서 대만의 성소수자는 어떻게 살아가고 있었을까요? 우선 2019년 이후 현재까지 대만에서 결혼한 동성커플은 총 10,966쌍이라고 해요. 첫 해에만 거의 3천 커플이 법적으로 혼인 관계를 맺었죠. 이는 이성애자를 포함한 전체 혼인 건수에 비추어 볼 때 약 2%정도에 해당한다고 해요. 아, 참고로 이 중에서 이혼한 커플은 1,880쌍이라고 하네요.
“대만 LGBTI 생활실태조사”는 2022년 10월부터 약 두 달 간 온라인으로 실시되었어요. 스스로 LGBTI로 정체화한 대만인이 대상인데, 특히 10대, 중장년층, 장애인, 원주민에 대한 추가적인 관심을 두고 조사를 수행했다고 해요. 유효응답수만 1만 3천 명이 넘는 대규모 조사인 만큼 매우 중요한 연구가 아닐 수 없어요. 대만 행정원이 실시한 최초의 실태조사라는 점에서도 큰 의미가 있죠. 한국에서는 국가인권위원회가 2014년 “성적지향·성별정체성에 따른 차별 실태조사”와 2020년 “트랜스젠더 혐오차별 실태조사”를 실시한 적이 있어요. 다만 그밖의 정부 부처는 성소수자 관련 통계를 생산하라는 국가인권위원회의 권고를 받아들이지 않는 등 소극적인 자세로 일관하고 있죠.
[국제활동] 2023 EU-대만 성평등 포럼 참가 후기
2023/07/11
활동 후기
다움이 퀴어노동권포럼과 연계하여 설문조사한 “직장 내 커밍아웃의 조건” 결과를 공유드립니다.
(제1편. 조직문화)
일터에서 고통받으며 살아가는 전국의 퀴어 직장인들,
직장내 커밍아웃의 조건
에 대해서 407명이 응답해주셨습니다.
내 정체성이 받아들여지지 않는 노동환경, 나를 차별하는 동료들이 있는 공간에서 우리는 제대로 일할 수 있을까?? 한국의 퀴어 직장인들이 솔직하게 나 자신을 드러내고 안전하게 일할 수 있는 조건은 무엇일까?
모두가 평등하게 일할 수 있는 일터를 위해 함께 해주세요. 바로 내 옆에서 일하고 있는 당신이, 바로 나의 노동환경입니다.
•
2편 커밍쑨-
.png&blockId=e5cfa088-c177-4d44-9017-417a6356e9a2)
.png&blockId=683c8755-8a11-4d00-bba8-00e269a5f1e5)
.png&blockId=cdb038c6-2dee-43ea-9da8-bcd9db97b881)
.png&blockId=cc54b7d3-b4a0-418b-ade7-50e7e5730cde)
[카드뉴스] 이런 직장이라면 커밍아웃한다! 첫번째
2023/07/04
활동 후기

K
직장문화에 고통받으며 살아가는 전국의 퀴어 직장인들,
커밍아웃
하고 싶었던 적 없으신가요?
우리는 직장에서 커밍아웃 할 수 있게 만드는 조건을 찾고 싶습니다. 성소수자가 있는 그대로 자신을 드러낼 수 있는 직장문화를 만들기 위해 당신의 생각을 알려주세요!
[설문조사] 이런 직장이라면 커밍아웃 한다: 직장 내 커밍아웃의 조건 찾기
2023/05/01
공지사항

다음 주 화요일, 다움에서 재미한인들의 미국 선거 도전기를 다룬 영화 <초선>의 청년관객 특별 GV 상영회를 엽니다. 특히 주인공은 한인 게이 정치인으로서 하원 도전하였습니다. 한국 청년 성소수자들과 만남의 자리를 마련하고자 합니다.신청링크: https://forms.gle/DBpvYXmqzq1urUUq5영화 <초선>에 대한 간단한 소개와 GV 주최 배경에 대해서 설명드리자면 아래와 같습니다.1. 미국 한인 5인의 선거 도전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감독님도 한국 분이십니다. "재미한인"의 존재를 알리고 싶었다고 하십니다.2. 주인공 격인 데이비드 김(한국명 김영호)은 한인 게이이며, 미국 연방 하원의원 후보로 출마했습니다. 데이비드 김이 이번에 한국에 와 이 GV에 참여합니다.3. 한국에도 성소수자 정치인이 있습니다. 마포구의원으로 커밍아웃하고 당선된 차해영 의원인데요, 데이비드 김과 함께 '초선'에 도전한 경험에 대해서 이야기 나누고자 합니다.4. 한국에 살아가는 청년들, 특히 성소수자 청년들과 만나는 자리를 만들어보면 의미가 있을 것 같아 출연진이 한국에 오시는 기간을 이용해 이번 GV를 빠르게 기획하였습니다. 많은 참여와 홍보 부탁드립니다.다움, <초선> 청년 관객 특별 GV 상영회비용: 8,000원공동예매 기간: 11월 14일~18일일시 :11월 22일(화) 오후 7시 30분 (7시 15분부터 입장) / (영화러닝 타임 1시간 30분 / GV 45분 진행)장소 : KT&G 상상마당 시네마 (서울시 마포구 어울마당로 65, 지하 4층)사회: 심기용(다움 운영위원)GV : 전후석(초선 영화감독) ,데이비드 김(미국 연방 하원의원 후보), 차해영(마포구의원)
문의: dawoom@dawoom-t4c.org주관: 다양성을 향한 지속가능한 움직임, 다움주최: 다양성을 향한 지속가능한 움직임, 다움
영화 <초선> 청년관객 특별 GV상영회
2022/11/15
행사 안내

5/21 제14회 성소수자 인권포럼이 개최됩니다.
이번 인권포럼의 제1세션(10:00~12:30)은 ‘성소수자 청년 들춰보기’라는 주제로 진행됩니다. 다움의 <2021 청년 성소수자 사회적 욕구 및 실태 조사> 중 정체성과 커뮤니티 관련 파트를 중점적으로 소개하게 됩니다.
사회자로 기용님이, 발제자로 플루키님이 참여하며, 토론이 함께 준비되어 있으니 많은 참석 부탁드립니다!
비용: 오프라인 (소책자 포함) 15,000원 / 온라인 중계 자율 후원
일시 : 2022. 5. 21.(토) 10:00 ~ 19:00
장소 : 낙원상가 청어람홀 (+온라인 중계)
•
모든 세션은 한국어 문자/수어통역이 진행됩니다. 해외언어 통역은 진행되지 않습니다.
문의 : queerforum.kr@gmail.com
프로그램북

[세션1] 10:00 ~ 12:30<성소수자 청년 들춰보기- 정체성· 커뮤니티· 사회적 욕구>
사회 | 심기용(다양성을 향한 지속가능한 움직임, 다움)
발제 | 정성조(다양성을 향한 지속가능한 움직임, 다움)
패널 | 윤덕(연세대학교 중앙 성소수자 동아리 컴투게더) 시엘(언니네트워크) 오소리(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전인(부산퀴어문화플랫폼 홍예당) 정용림(청소년성소수자위기지원센터 띵동) 희정(트랜스젠더인권단체 조각보)
[세션2] 13:30~16:00<내 일상의 공간에서 만드는 변화 - 성소수자 운동 조직방법론>사회 | 소주(한국청소년청년감염인커뮤니티 알_
제14회 성소수자 인권 포럼에 다움이 함께합니다!
2022/05/20
행사 안내
지난 5월 17일 국제성소수자혐오반대의 날(아이다호, IDAHOBIT, International Day against Homophobia, Biphobia, Intersexism and Transphobia)을 기념하여 다움의 제안으로 여러 대학 단위들과 공동현수막을 거는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함께 해주신 단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동국대학교 성소수자 중앙동아리 큗, 연세대학교 성소수자 중앙동아리 컴투게더, 이화여자대학교 변태소녀하늘을날다, 충북대학교 성소수자 일동, 한국외대 성소수자 동아리 외행성
이번 프로젝트를 슬로건은 "성소수자 차별을 없애자, 우리는 평등으로 간다" 였습니다. 그 중에 '우리는 평등으로 간다'는 표어는 인권과 평등의 가치를 외면하는 사회적 반동 움직임에 반하여 함께 평등으로 나아가자는 제안문이기도 합니다. 함께 해주신 단위들께 다시 한 번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반면 한국외대 외행성의 경우 학교 기숙사 앞 길목에 걸었던 현수막이 난도질 당하는 혐오범죄를 당하기도 하였습니다. (한국외대 외행성의 트위터 게시글 링크) 당시 사진을 보면 난도질 당한 현수막에서 악의를 느낄 수 있고, 이것이 단순한 사고가 아님을 명확히 알 수 있습니다. 현장을 목격하고 사태를 대응한 외행성 구성원 분들께 위로를 표하며, 다시는 이런 혐오범죄가 일어나지 않도록 범인이 하루 빨리 잡히고, 이 사건을 계기로 학교 구성원들과 함께 성소수자 혐오 없는 학교를 만드는 계기가 되길 간절히 기원합니다.
본 행사는 전적으로 다움이 자부담하여 진행하였습니다. 내년에도 대학 단위들과 함께 성소수자 인권 증진의 가치를 알리는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도록 여러분들의 지속적인 후원을 부탁드리겠습니다. 관심 가져주시고 응원해주신 분들께 감사 말씀 드립니다.
아래 접힌 글을 펼치시면 학교 별로 걸었던 현수막 사진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현수막 사진 구경하기
국제성소수자혐오반대의 날 기념 아이다호 공동현수막 걸기 프로젝트
2022/05/17
활동 후기

작년 8월 다움은 3,911명의 청년 성소수자 분들이 참여해주신 <2021 청년 성소수자 사회적 욕구 및 실태 조사>을 실시하였습니다. 오늘 5월 17일 국제성소수자혐오반대의날에 맞춰 이 조사의 결과보고서를 발간하게 되어 기쁩니다.
“나 같은 사람이 혼자가 아니구나.”라는 표제는 면접조사에 응한 한 연구참가자의 발언입니다. 청년 성소수자들이 성소수자 모임, 행사, 축제 등에 나갈 때의 느끼는 감정이 함축된 한 마디였습니다.이 결과보고서의 발간 역시 청년 성소수자들에게 그러한 안도감을 줄 수 있길 바랍니다. 3,911명이 전한 간절한 마음을 어떻게 전할 수 있을지 열심히 고민하며 썼습니다. 많은 관심과 홍보를 부탁드립니다.
<“나 같은 사람이 혼자가 아니구나”: 2021 청년 성소수자 사회적 욕구 및 실태 조사> 결과보고서 발간 안내
2022/05/17
공지사항
안녕하세요. 2022년 들어 처음 인사드리는 다움입니다.
[2022년 1분기 활동 소개]
1. 차별금지법 유세단


1월 26일 보미님과 기용님께서는 다른 유세단원들과 함께 오전 10시부터 오후 7시까지 서울 동작구를 누비며 차별금지법 제정을 하라고 유세 했습니다. 시장을 거닐고 거리 곳곳에서 차별금지법 제정을 외치고 오신 보미님과 기용님 수고 많으셨습니다!!
기용님께서는 이 날 다움 회원님들께 오늘 하루 각자 있는 곳에서 차별금지법 제정을 외쳐달라고 요청하셨습니다. 2022년에는 부디 차별금지법이 제정되기를 바라봅니다.
2. 성소수자차별반대 무지개행동무행 설날 선전전

설날을 맞이해 다움에서도 무지개행동의 설날 서울역 선전전에 참여했습니다. 다움에서는 기용님, 기진님, 동글님께서 참여해 성소수자가 평등한 명절이라는 슬로건이 적힌 물티슈를 나눠드렸으며, 피켓을 들고 차별없는 사회를 위해 차별금지법 있는 나라를 외치셨습니다! 차별 없는 설날이었길, 매년 다시 올 설날에 차별이 없기를 외쳐봅니다.
3. 한국 성소수자 청년을 말하다 국회 토론회

지난 뉴스레터에서 계속 언급했던 것처럼 2021년 동안 다움에서 진행했던 다양한 활동 결과를 기반으로 2022년에도 다움은 더 많은 활동을 향해 걸어가고 있습니다. 그 첫 번째 주자로, ‘2021 청년 성소수자 사회적 욕구 및 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하는 국회 토론회를 가졌습니다.
[뉴스레터] 2022년 1분기 특집호: 지금은 서로를 지키며 담대히 나아갈 때
2022/03/17
다움 소식지
Load more